-
완득이 - 김려령, 창비즐거운 생활/되새김질_도서 리뷰 2010. 12. 20. 17:52
완득이 -
김려령 지음/창비(창작과비평사)
과연 완득이는 어떤 어른이 되었을까.
나는 어떤 어른이 될 것인가? 그 모든 가능성들은 열려있다!
* 소설에 대한 줄거리를 어느정도 담고 있다. 이점 참고 하시라.세상에는 참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한다. 잘난 사람 못난 사람 할 것없이 섞여서 더불어 사는 것이 세상이니깐.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등장하는 이 소설은 주인공의 이름을 그대로 따왔다. 완득이. 유명한 유머소재로 만득이가 있었던 것 같고, 내 고등학교 동창 중에 완덕이란 이름의 친구가 있었는데, 글쓴이도 알았을런지는 모를일이지만 아무튼 흔치않은 이름을 지은 것 같다. 이는 아마 완득이가 처한 환경이 참으로 특별하기 때문일 것이다.완득이네 가족들을 살펴보자. 아버지는 춤을 사랑하는 춤꾼이자 또한 키가 몹시 작아 난쟁이로 놀림받는 어른이다. 완득이 삼촌을 제외한 그 누구도 그를 어른으로 대우해 주지는 않지만 말이다. 완득이가 초등학교 4학년때 그 아버지의 키를 넘어섰다고 하는데 말하지 않아도 알지 않겠는가. 그가 얼마나 작은키를 가졌는지 말이다. 한편 완득이에게는 삼촌 남민구가 있다. 안타깝게도 완득이의 삼촌 또한 평범한 사람은 아니다. 키와 생긴 것 모두 멀쩡하지만 약간의 정신지체가 있는듯 하고 말을 심하게 더듬는다. 자기 소개를 할 때 '아,아,안녕하세요. 저, 저는, 나, 나, 남밍굽니다'라고 말해 사람들이 그의 이름을 난닝구로 오해하는 웃지못할 에피소드가 생기기도 한다. 아참, 완득이의 어머니를 빼먹을뻔 했다. 그녀는 베트남에서 나고 자란 베트남처녀로 브로커를 통해 한국으로 시집온다. 결혼할 상대에게 자신의 상태를 정직하게 밝히려던 완득이 아버지의 바람과는 달리 브로커는 그의 키가 작음을 속인다. 그리하여 결국 그녀는 그가 난장이임을 모르고 결혼하게 된다. 다문화가정이 탄생한 것이다. 그런데 그래서일까 한국인남편과의 결혼으로 한국국적을 취득하고 완득이가 조금 컸을 때에 집을 떠난다. 따라서 한부모가정으로 어머니 없이 살아간다. 이혼하지는 않았지만 깨어진 가정이랄까...거기다 완득이네 가족들의 수입은 변변찮다. 완득이 아버지와 삼촌은 둘다 카바레에서 춤꾼으로 일한다. 집도 좁디좁은 옥탑방이어서 사는 것이 편리하지는 않다. 게다가 옆건물 옥탑방에는 완득이 담임인 동주-완득이는 똥주라고 부른다-가 살고 있다. 맨날 완득이를 불러서 햇반-경제사정이 어려운 수급대상자를 위해 나오는 밥, 선생 동주는 완득이를 수급대상자로 만들어주었다-을 던져 달라느니 난리다. 거기다 똥주 선생은 욕이 입에 붙은 사회선생이다. 학생들을 제대로 가르치려 들지도 않는다. 한번은 누군가 수업에 충실하지 않는다고 인터넷 게시판에 글을 올린 것을 두고 '니들 잘나가는 학원에서, 유치원 때 초등학교 마스터하고, 초등학교 때 중학교 마스터하고, 중학교 때에 고득학교 다 마스터하고 오잖아. 근데 나한테 뭘 가르쳐달라는 거야. 대학교 꺼?'라며 학생들을 향해 윽박지른다. 이런 선생이 옆 옥탑방에 살고 있으니 좋을리가 있을까.하지만 인생을 살다보면 항상 나쁜일만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되먹지 않아 보이는 동주선생을 통해 어머니 소식을 듣게도 되고, 그가 외국인노동자의 권리를 위해 일하고 있다는 것도 알게된다. 또한 어떤 사건-소설을 통해 확인하시라-을 계기로 반에서 일등인 정윤하와 가까워지게 된다. 친구하나 제대로 없이 스스로 외롭게 살아온 완득이었는데 말이다. 그뿐만 아니라 세상 뒤에 숨어 살았으며, 세상과 자식앞에서 떳떳하지 못했던 완득이 아버지. 자식을 소설가로 만들고 싶은 그의 지나친 욕심을 완득이 어머니가 설득하여 완득이가 잘하는 운동-킥복싱-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과연 완득이는 어떠한 어른이 될까. 장애로 인해 세상앞에 떳떳하지 못했던 그의 아버지처럼은 되지 않을 것 같다. 몹시나 궁금하지만 이 소설의 결말은 나와있지 않다. 그 어느것도 이룬 것이 없이 소설은 종결된다. 이점은 보통의 성장소설과는 다르다. 열린결말을 취한 것은 아마 여러가지 다양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닐까. 독자가 어떤 상상을 해도 괜찮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 상상처럼 아마 완득이는 대한민국의 어딘가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어찌되었든 그런식으로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서 상상하기를 바란다. 모든 것은 열려있다. 아직은 젊기에 말이다. 아마 이 소설을 읽는 사람들은 10대~30대가 될 것 같다. 또한 나는 10대~30대가 이 책을 읽었으면 한다. 가능성을 놓치지 말기를 바란다. 무엇이든 자신이 원하는 것,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하기를 바란다. 환경의 핑계를 대지 않기를 바란다. 완득이처럼 그 혹독한 환경속에서도 꽃은 피는 법이니깐 말이다. 부디 어려운 환경속의 당신에게 힘이 되기를 바라며 리뷰를 마친다.'즐거운 생활 > 되새김질_도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목 - 박완서, 세계사 (0) 2010.12.20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Matrix & Philosophy - 슬라보예 지젝 외, 한문화 (0) 2010.12.20 고령화 가족 - 천명관 장편소설, 문학동네 (줄거리) (0) 2010.12.20 스마트 스웜The Smart Swarm - 피터 밀러, 김영사 (0) 2010.12.20 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 이민규, 더난출판 (0) 2010.12.20 댓글